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OpenAI
- CUDA
- TensorFlow
- cifar10
- 윈도우11
- 라마3
- 수호의계시록
- llama3
- 캐속
- pytorch
- M1
- 펫핸들러
- nowritableenvsdirerror
- 디스코드1
- discord1
- 에르그이전
- AI
- 에르그
- ChatGPT
- 모델경량화
- 윈도우wget
- Nvidia
- 전이의카탈리스트
- 승급의카탈리스트A
- tensorRT
- 마비노기
- LLM
- 제바흐
- 켈트볼
- mps
- Today
- Total
어바웃 세드릭
깃헙(Github) 저장소에 연결해서 관리하기 본문
이전 포스팅 에서 만든 프로젝트 파일들은 앞으로 계속 개발해나가며 복잡해질테니 관리가 필요하다.
소프트웨어 형상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는 최소 기능 단위로 관리하고자 하는 대상의 변경을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스 코드의 변경 뿐만아니라 설계 문서나 요구사항 정의서 등의 다양한 결과물에 대한 형상을 만들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보통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SVN(Subversion)이나 GIT 을 많이 쓴다.
요즘에는 GIT 기반의 Github를 많이들 쓰니, 이를 활용해 형상관리를 해보고자 한다.
저장소(Repository)를 하나 만들어준다.
그리고 해당 저장소에서 Code -> Local 에서 HTTPS 혹은 SSH 주소를 복사해둔다.
그리고 관리하고자 하는 폴더 안에서 터미널을 열어 Git 명령어를 실행한다.
git init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git 이라는 숨김 폴더가 생길 것이다.
그리고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하여 원격 저장소와 연결을 해준다.
[PATH] 에는 앞서 복사한 저장소의 HTTPS 혹은 SSH 를 넣으면 된다.
# git remote add origin git@github.com:ce-dric/sagittarius.git
git remote add origin [PATH]
git pull origin main
그러면 아래와 같이 원래 저장소에 있던 파일들(gitignore, README) 이 추가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그럼 해당 경로에서 원격 저장소로 파일을 업로드 해야하는데, 아래의 명령어를 따라가면 된다.
# upload all files
git add *
git commit -m "upload local files"
git push origin main
보통은 여기까지 별 문제없이 될 것이다.
원래 GIT의 기본 브렌치(branch)명은 master 였는데, 최근 main으로 바뀌면서 생기는 문제가 있다.
'error: src refspec main does not match any' 는 브렌치명이 맞지 않을 때 발생한다.
현재 바라보고 있는 브렌치명을 확인하려면, git status 명령어의 결과로 'On branch XXX' 으로 표시되어 확인할 수 있다.
해결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하게 현재 브렌치명을 바꿔주면 된다.
git branch -M main
그리고 다시 push를 해보면 제대로 올라감을 확인 할 수 있다.